무덤이 된 미얀마, 건물 80% 붕괴..3천명 이상 사망

미얀마 강진 발생 닷새째인 1일(현지시간) 현재 사망자가 3천 명에 육박하며 피해 규모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TV 연설을 통해 지난달 28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719명에 이르렀으며, 부상자는 4,521명, 실종자는 441명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국제사회와 민주 진영에서는 실제 사망자 수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통합정부(NUG)는 별도 발표를 통해 이번 지진으로 2,4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또한, 약 850만 명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유엔과 아세안(ASEAN)에 신뢰할 수 있는 단체를 통해 피해자들에게 인도주의적 지원이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촉구했다. NUG는 지진 이후에도 미얀마 군사정권이 공습을 지속하면서 비극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개입을 요청했다.

 

미얀마에서는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많은 건물이 붕괴됐으며, 특히 인구 170만 명이 거주하는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큰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대피소 부족, 깨끗한 물과 의약품 부족 등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OCHA에 따르면 만달레이의 한 유치원에서는 건물이 무너지면서 아동 50명과 교사 2명이 숨지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골든타임'으로 불리는 72시간이 지난 가운데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극적인 구조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이날 오전 네피도에서는 지진 발생 91시간 만에 63세 여성이 건물 잔해에서 구조되었다. 하지만 기간 시설 붕괴로 인해 실종자와 피해 규모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는 사망자가 1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실종자 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서 구조 활동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국제구호위원회(IRC) 미얀마 프로그램 부국장 로렌 엘러리는 "현재로선 파괴 규모를 정확히 알 수 없다"며 "만달레이의 건물 80%가 무너졌다고 보고됐지만, 통신 두절로 인해 다른 지역 피해 상황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반군이 통제하는 북부 나웅초 지역 등에서는 피해 규모조차 집계되지 않아 향후 사망자 수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병원 피해와 사상자 급증으로 인해 의료 대응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경고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오는 6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하고 조기를 게양한다고 밝혔다. 수도 네피도와 만달레이 일부 지역에는 국제 구조대가 도착했지만, 대부분의 피해 지역은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다.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모든 구호 단체가 군정이 통제하지 않는 지역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번 강진의 영향은 미얀마를 넘어 태국까지 미쳤다. 방콕에서는 지진 여파로 공사 중이던 30층 빌딩이 붕괴되며 20명이 숨지고 34명이 다쳤으며, 현재 74명이 실종 상태다. 붕괴된 건물 잔해에서 사고 초기에 최소 15명의 생체 신호가 감지되었지만, 구조 과정에서 대부분의 희생자가 시신으로 발견됐다. 찻찻 싯티판 방콕 시장은 "아직 생존자를 발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희망을 버리지 않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얀마에서는 여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구조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며, 폭염까지 겹쳐 구조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미얀마인들은 SNS를 통해 해외 정부에 구호 지원을 요청하고 있으며, 사가잉 지역의 자원봉사자들은 "필요한 장비가 없어 맨손으로 구조 활동을 벌이는 상황"이라며 시신 수습조차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만달레이와 사가잉의 화장터는 연일 가동 중이며, 도심 곳곳에서는 더위 속에 부패한 시신의 악취가 풍기고 있다고 AFP는 보도했다.

 

사망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얀마 군부의 정보 통제와 통신망 붕괴로 인해 정확한 피해 규모를 확인하는 데까지 몇 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얀마 군사정권이 발표하는 공식 사망자 수에 대한 신뢰도 역시 낮아 국제사회는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구조대와 의료진의 절박한 상황 속에서 국제사회의 신속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